[중모리]죽장짚고 단표자로 천리 강산을 들어가니 폭포도 장히 좋다마는 여산이 여기라비류직하 삼천척언 옛말로 들었더니 의시은하 낙구천은 과연 허언이 아니라기산얼 넘고 넘어 영수로 내려가니 허유난 어이허여 팔 걷고 귀를 씻쳐 소부난 어이허여 소 고삐럴 거사렸나창랑가 반기 듣고 소리 쫓아서 내려가니 엄릉탄 여울물에 고기 낚는 어옹 하나양에 갗옷얼 떨쳐입고 벗얼 줄을 모르더라 오호라 세인 기군평은 미재군평이 역기세라황산곡을 돌아드니 죽림칠현 모였더라 영척언 소를 타고 맹호연 나귀 타 두목지 보이랴고 백락천변얼 찾어가니 장거난 승사로다 맹도야 너룬 들로 와룡강얼 당도허니학창어 흑띠 띠고 팔진도 축지법얼 흉장만 가압허고 초당으 졸며 대몽시를 읊네그려물외석경 다 본 후로 탄탄 경로를 내려가니 밤도 놀고 낮도 놀고 노류장화 꺾지 말고 두고보며 헐일얼 허여가며 지내보세
내용
○ 2015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토요정담[03.07.]의 다섯 번째 프로그램○ 팸플릿 수록 내용 판소리처럼 긴 노래를 부르기 전에 소리꾼이 목을 풀기 위해 짧게 부르는 곡을 단가(短歌)라고 하며, 직접 가야금으로 반주하며 소리하는 가야금병창으로도 자주 부른다. 주로 산천의 아름다움이나 인생의 무상함을 이야기하며 젊은 시절에 부지런히 일하고 공부하되, 즐기기도 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단가 죽장망혜는 '죽장망혜 단표자로 천리강산을 들어가니 폭포도 장히 좋다마는 여산(廬山)이 여기로다.' 이렇게 시작하여 중국 고전에 등장하는 지명과 사람들, 그에 얽힌 이야기들을 들어 자연과 사람의 어울림을 노래하는데, 첫 구절을 따서 제목을 삼았다. 죽장망혜(죽장망혜)는 대나무 지팡이와 짚신, 단표자는 표주박 하나로, 옛 사람들이 가벼운 몸과 마음으로 길을 나서는 모습에 대한 상징이다. ○ 가야금병창/강선례, 장구/조용복
동영상 - 2015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토요정담[03.07.]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5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토요정담[03.07.] - 05. 가야금병창 ’죽장망혜’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