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가형[05.17.]의 네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우리나라의 민간음악이나 무용은 기본적으로 즉흥예술이었다. 이는 특별한 동작이나 순서를 정해놓고 추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감정을 즉흥적으로 표현하는 특징을 갖는다. 입춤은 '서서 춤을 춘다'는 의미의 가장 기본적인 민간무용을 말하던 것으로, 현재는 즉흥성이 강조되어 즉흥무,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추면 굿거리춤, 수건을 들고 추면 수건춤 등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입춤은 전통춤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춤으로 굿거리장단과 자진모리장단 등 가장 기본이 되는 장단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오늘 선보이는 입춤은 즉흥성을 바탕으로 한국 춤의 맛과 멋을 잘 살려 무대화 한 작품이다. ○ 입춤/백진희 ○ 피리/이호진, 대금/문재덕 ○ 해금/김정림, 가야금/이여진, 거문고/이선화, 아쟁/배런 ○ 구음/이주은, 장구/조용복, 징/이재하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가형[05.17.] - 01. 영산회상 ’상령산’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가형[05.17.] - 02. 아쟁산조(윤윤석류)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가형[05.17.] - 04. 생소병주 ’수룡음’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가형[05.17.] - 05. 입춤(조흥동류)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가형[05.17.] - 07. 시나위
음향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가형[05.17.]
동영상 -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가형[05.17.]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4 토요명품공연: 종합 가형[05.17.] - 05. 입춤(조흥동류)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