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2011 국립국악원 ’공감! 청년국악’ 5월: 제636회 이재하 거문고 독주회-현금제玄琴祭[05.18.]

조회 228 0 0

자막이 없습니다.

  • 등록번호 V008378
  • 기록 분류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동영상
  • 저장매체스토리지

개요

5월 18일 19시 30분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개최한 '이재하 거문고 독주회 - 현금제玄琴祭' 공연실황을 우면당 보유장비로 녹화한 동영상자료.

내용

01. 1장 : 망자의 초대를 위한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재생시간 02:30~24:02, 21분 32초)
전통의 부활 혹은 망자의 방문은 전승된 한갑득류 산조의 기존 가락으로 표현한다.
ㅇ 거문고/이재하, 장구/정준호

02. 2장 : 제사를 준비하는 장, '거문고 아쟁 병주' (재생시간 27:21~40:32, 13분 11초)
제사는 엄숙하지 않다. 만남을 통해 회포를 푸는 산자들, 제수를 준비하는 여인들의 분주와 손과 입. 그래서 제사는 오히려 산자와 망자가 만나는 신명의 장이다.
지금까지의 병주가 거문고의 산조 혹은 아쟁산조 위주의 연주였다면 현금제에서는 산조합주 선율을 재구성하여 거문고와 아쟁만으로도 발현됨을 들려준다.
ㅇ 거문고/이재하, 아쟁/한림, 장구/정준호

03. 3장 : 거문고를 위한 큰 놀음, '대풍류' (재생시간 43:28~52:58, 09분 30초)
대풍류는 관악기 위주의 연주다. 거문고는 발현악기이다. 그래서 지속음의 단절과 단지 소리가 끊어지는 여음의 단점이 있다. 이 장은 관악기 고유의 농음이나 연주법을 거문고가 어떻게 소화할까, 지켜보는 장이다. 더불어 인간의 희로애락이 아우러져 만들어진 갈등의 해소를 통해 비록 잠깐일지라도 통일되는 인간 감정의 합일을 표현했다.
ㅇ 거문고/이재하, 아쟁/한림, 대금/문재덕, 피리/최경배, 해금/원나경, 장구/정준호

04. 4장 : 현금을 위한 제사, '거문고 시나위' (재생시간 55:53~01:07:22, 11분 29초)
기존의 시나위와 다양한 장단의 혼합으로 거문고로 연주 가능한 많은 민속적 느낌의 즉흥곡이다. 현금을 위해 모두가 하나의 마음으로 기원을 하는 행위이다.
ㅇ 거문고/이재하, 장구/정준호, 징/최경배

* 총 재생시간: 1시간 10분

* 공연 설명
ㅇ 거문고는 고구려의 재상 왕산악이 만든 현악기이다. (삼국사기: 김부식)
소리는 오동나무 몸체 뒤 울림통서 나온다. 몸체에는 16개 괘와 그 위를 지나는 6줄의 명주실 그리고 잡음을 줄이는 장치인 가죽이 있다. 해죽으로 만든 술대를 오른손 식지와 장지 사이에 끼워 내려치거나 뜯어 음을 만든다. 거문고는 예로부터 학문을 닦는 선비들이 즐겨 타는 것으로 악기 중에 으뜸으로 쳤다. 음역이 넓어 세 옥타브를 낼 수 있으며 전조하기가 관악기보다는 물론, 가야금보다도 수월해 현악 위주의 악곡에서는 거문고가 합주를 이끌어 간다.
한국 악기들은 구음 즉, 입으로 음을 만드는 법이 있는데 음에 따라 당, 둥, 동, 징, 등, 덩, 흥, 청하고 내는 거문고 구음은 그 자체로도 훌륭한 노래가 된다.
현금제는 이렇듯 좋은 악기임에도 불구하고 점점 소외되어 가는 현실에서 인간 감정의 얇음과 깊음, 통속과 이상 모두를 표현해 낼 수 있는 거문고, 많은 단어로 표현하는 이야기이자 단 하나의 짧은 단어, 음으로 함축되는 이재하의 참소리를 들려주고자 한다. 그렇다면 왜 현금제인가? 제사는 현재의 사람들이 과거의 사람을 불러내는 행사이다.
그들이 모두 하나의 생명임을 증명하는 행위, 그것이 제사이기에 현금제는 거문고를 기원 혹은 축원의 영물로 그리고 연주자는 실존의 제주 또는 영접자로 표현했다. 현금제는 4장으로 엮은 이야기 형식의 연주이다. 과거와 현재의 소통이 곧 미래의 약속임을 제사행위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거문고의 부활을 꿈꾸는 것 ...현금제이다.

* 이재하 프로필
ㅇ 학력
- 국립국악 중·고등학교 졸업
- 한양대학교 졸업
- 대학 어울림악단 전 단원
- 한양대학교 국악관현악단 부악장, 악장 역임
- 한국거문고 앙상블 회원
- 거문고 팩토리 프로젝트 멤버
- 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 연수단원
ㅇ 수상 경력
- 2001 천안삼거리 문화제 기악 독주 대상
- 2002 한국음악협회콩쿠르 1등
- 2003 서울 특별시 서울학생 명예거양부문 수상
- 제22회 전주 대사습놀이 기악 장원
- 2005 전국 거문고 경연대회 대상
- 제1회 서울 음악 콩쿠르 대상
- 한양음악콩쿠르 거문고 1등
- 2008 제 24회 동아 국악콩쿠르 금상
- 2009 한양대학교 70주년 기념 공로상
ㅇ 연주 활동
- 2001 제30회 KBS 어린이 음악회 거문고 독주
- 2006 한양대학교 수상자 초청 공연 거문고 독주
- 유림 유망 아티스트 이재하 연주회
- 서울시립 국악관현악단 '아름다운 향연' 달무리 협연
- 2008 금호 영아티스트 이재하 독주회
- 2009 한양 국악제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협주곡 협연
- 한울악회 중국 순회 연주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독주
- 2010 조선일보 신인 음악회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독주
- 국립극장 젊은 예인의 밤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협연
- 문화재보호재단 주최 '지음-유파별 산조의 밤' 김윤덕류 거문고산조 독주
- 서울아트마켓 (pams) 거문고 팩토리 'Metamorphosis' 사운드 디렉터
- 윤중강의 꿈꾸는 아리랑 Neige겸 이재하 출연
- 2011 국악 뮤지컬 집단 타루 '매난국죽2' Neige 게스트 출연
- TBS 교통방송 이안의 싱싱한 우리음악 아티스트 Neige 출연
- 김희영 독주회 거문고 3중주 '그 가시나무 숲' 작곡
ㅇ 음반 활동
- 2008 국악방송 새음원 시리즈 이재하의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 2009 거문고 팩토리 '잊혀진 거문고산조의 명인들' 김윤덕류 거문고산조
- 2010 거문고 팩토리 1집 'geomungo factory'
- 디지털 싱글 Neige 1집 -'이별 그늘' (작사 작곡 편곡 연주 보컬 믹싱)
- 2011 디지털 싱글 Neige 2집 - '생활의 발견' (작사 작곡 편곡 연주 보컬 믹싱)
ㅇ 사사
- 강덕수, 김무길, 김연미, 변성금, 원장현, 유영주, 이용우, 정대석, 조경희, 함유정

* 출연
ㅇ 장구/정준호(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 국악예술사)
ㅇ 대금/문재덕(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 국악예술사)
ㅇ 피리/최경배(국립국악원 민속연주단 준단원)
ㅇ 해금/원나경(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ㅇ 아쟁/한 림(한양대학교 졸업, 동 대학원 석사 과정 수료)

제작진

기획/한지선, 무대/라키 Laki, 의상/한 빈

주최정보

주최/국립국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