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1999년 사진작가 강운구가 '국악기, 국악기 제작과정 및 전통음악 연주기법' 등 을 촬영한 슬라이드를 2006년 11월에 디지털 변환한 이미지자료.○ 악기설명 소고는 손잡이가 달린 작은 북이다. 농악패의 소고재비들은 상모 달린 벙거지나 고깔을 쓰고 경쾌하고 날렵하게 소고춤을 추며, 잡가나 선소리를 부르는 노래패들은 소고를 들고 노래 동작에 어울리는 '발림'을 했다.
촬영자정보
강운구
이미지 - 224. 당비파
이미지 - 05. 산조가야금
이미지 - 11. 산조가야금
이미지 - 18. 해금
이미지 - 30. 월금
이미지 - 35. 월금
이미지 - 40. 양금
이미지 - 46. 옥저
이미지 - 50. 대피리
이미지 - 55. 소금
이미지 - 65. 훈
이미지 - 83. 건고
이미지 - 91. 장구
이미지 - 95. 편종과 각퇴
이미지 - 99. 농악북
이미지 - 101. 소고
이미지 - 112. 특종
이미지 - 118. 소공후
이미지 - 122. 와공후
이미지 - 126. 노고
이미지 - 171. 슬
이미지 - 60. 적
이미지 - 68. 어
이미지 - 78. 노도
이미지 - 32. 산조아쟁
이미지 - 02. 신라금
이미지 - 13. 산조가야금
이미지 - 38. 향비파
이미지 - 119. 방향
이미지 - 120. 소공후
이미지 - 121. 수공후
이미지 - 123. 와공후
이미지 - 124. 수공후
이미지 - 128. 편경
이미지 - 31. 산조아쟁
이미지 - 34. 슬
이미지 - 44. 중금
이미지 - 66. 박
이미지 - 114. 편종
이미지 - 15. 탁영금
이미지 - 08. 탁영금
이미지 - 12. 산조가야금
이미지 - 19. 정악용 아쟁
이미지 - 20. 정악용 아쟁
이미지 - 21. 산조아쟁
이미지 - 27. 산조아쟁
이미지 - 94. 징
이미지 - 96. 특경
이미지 - 97. 장구
이미지 - 98. 소리북
이미지 - 36. 당비파
이미지 - 43. 양금
이미지 - 45. 대금(칠성공)
이미지 - 88. 용고
이미지 - 90. 장구
이미지 - 92. 갈고
이미지 - 93. 소리북
이미지 - 51. 생황
이미지 - 103. 바라
이미지 - 104. 꽹과리
이미지 - 105. 꽹과리
이미지 - 113. 편종
이미지 - 111. 특종
이미지 - 115. 편종
이미지 - 116. 편경
이미지 - 117. 운라
이미지 - 28. 산조아쟁
이미지 - 29. 슬
이미지 - 33. 금
이미지 - 37. 향비파
이미지 - 39. 양금
이미지 - 41. 대금
이미지 - 42. 옥저
이미지 - 47. 향피리
이미지 - 56. 퉁소
이미지 - 48. 향피리
이미지 - 49. 당피리
이미지 - 102. 징
이미지 - 108. 편경
이미지 - 270. 절고
이미지 - 57. 단소
이미지 - 58. 생황
이미지 - 59. 태평소
이미지 - 61. 지
이미지 - 07. 거문고
이미지 - 09. 신라금
이미지 - 10. 신라금
이미지 - 265. 좌고
이미지 - 300. 징
이미지 - 67. 축
이미지 - 69. 어
이미지 - 71. 뇌고
이미지 - 52. 소
이미지 - 107. 편경
이미지 - 26. 산조아쟁 활
이미지 - 53. 소
이미지 - 54. 나발
이미지 - 03. 정악용 가야금
이미지 - 04. 산조가야금
이미지 - 06. 거문고
이미지 - 62. 지
이미지 - 63. 약
이미지 - 64. 나발
이미지 - 72. 뇌도
이미지 - 73. 나각
이미지 - 79. 노도
이미지 - 81. 영고
이미지 - 82. 건고
이미지 - 84. 응고
이미지 - 01. 신라금
이미지 - 국악연구실 소장 한국악기[1999]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는 기록입니다.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국악연구실 소장 한국악기[1999] - 100. 소고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