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R. Garfias(로버트 가피어스) 선생이 미상의 일시에 미상의 장소에서 촬영한 '강태홍 가야금'의 음향자료.
이 음원은 강태홍이 연주한 가야금산조로, KBS라디오가 소장하고 있는 것을 직접 녹음한 것이다. ‘강태홍 가야금’이란 자료명의 이 자료에는 가야금산조를 비롯하여 가야금병창 등 그의 음악이 47여 분간 녹음되어 있다. 그중 가야금산조가 31분 정도 차지하는데,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연주를 들을 수 있다. 즉 처음부터 11:19까지는 <진양조>, 11:20부터 18:40까지는 <중모리>, 18:41부터 20:22까지는 <중중모리>, 20:23부터 28:48까지는 <자진모리>, 28:49부터 31:00까지는 <휘모리>에 해당한다. 특히 <진양조> 첫 장단(6박 기준 한 장단)은 두 박이 생략된 채 제3박부터 녹음되어 있으며, <휘모리>에서는 연튕김 주법을 활용하여 선율이 계속 이어지는 부분에서 “새가 운다”라는 말이 연주와 함께 녹음되어 있다. <진양조>는 ‘우조-돌장-평조-계면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악장은 순차 상행 선율형이나 전형적인 계면조 선율이 특징적이다. <중모리>는 ‘강산제-경조-평조-계면조-강산제-계면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악장은 <진양조>와 마찬가지로 계면조와 평조가 주를 이루는데, 특히 문답식 형태의 선율형과 상・하행 반복 선율형이 나타난다. <중중모리>는 ‘강산제-평조-강산제’로 이루어져 있는데, 강산제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다른 유파의 가야금산조 <중중모리>에서는 계면조로 구성된 부분이 있는데, 본 음원의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에서는 계면조가 나타나지 않는다. <자진모리>는 ‘강산제-계면조-강산제’로 구성되어 있다. 악장에서는 여타 산조와 마찬가지로 헤미올라 리듬형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첫 박에서 튕겨주면서 장단을 달고 가는 엇붙임 형태의 선율 변화가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휘모리>는 ‘계면조-무장단-강산제’로 구성되어 있지만 계면조가 주를 이룬다.
○ 가야금병창/강태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