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R. Garfias(로버트 가피어스) 선생이 1966년 6월 9일에 창덕궁과 국립국악원에서 촬영한 '처용무' 의 음향자료.
창덕궁에서 춘 처용무의 반주음악으로, 영상 자료(국악아카이브 V013378)도 있어 처용무의 춤사위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반주 악기는 피리2・대금1・해금1・장구1・북1 삼현육각 편성이다. 처용무의 반주음악으로는 <향당교주> 6장단, 관악영산회상 중 <세령산> 7장단, <함녕지곡> 20장단, <반염불> 23장단, <웃도드리> 10장단을 연주한다. <함녕지곡> 20장단은 관악영산회상 중 <삼현도드리> 9장단과 <염불도드리> 11장단을 이어서 연주한다. 이는 현행 국립국악원에서 연주하는 처용무 반주음악과 상이하다. 즉, 현행 국립국악원에서는 <수제천> 9장단, <향당교주> 6장단, 관악영산회상 중 <세령산> 7장단, <반염불> 25장단, <웃도드리> 21장단을 연주한다. <수제천>은 무용수들이 무대에 입장할 때 연주하는 악곡이므로 그 당시에는 생략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가피아스 자료의 <함녕지곡>은 현행 처용무 반주음악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 무용: 청/이강덕, 적/송용우, 황/김정수, 흑/김응서, 백/고천주
○ 피리/서한범·김태섭, 대금/박종길, 해금/김종희, 장구/박영복, 북/김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