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8.18.] - 02. 가곡 ’계면초수·여창두거’

조회 134 0 0 다운로드 신청

○ 계면초수(초수대엽) 청석령(靑石嶺) 지나거다 초하구(草河衢) 어듸메오 호풍(胡風)도 차도찰사 구진비는 무엄일고 뉘라서 내 행색(行色) 그려내여 임 게(계)신데 드리리 ○ 여창두거 임술지추(壬戌之秋) 칠월(七月) 기망(旣望)에 배를 타고 금릉(金陵)에 나려 손조 고기 낚아 고기 죽고 술을 사니 지금에 소동파(蘇東坡) 없으니 놀 이 적어 하노라

  • 등록번호 A026428
  • 기록 분류정악>성악>가곡>여창>계면조>두거 
  • 기록 일시2018.08.18 - 2018.08.18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음향
  • 저장매체음향DVD-R
  • 열람 조건온라인 열람, 다운로드 신청
  • 공공누리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내용

○ 2018 토요명품공연: 한국의 악가무[08.18.]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가곡(歌曲)은 시조시를 얹어서 노래하는 5장 형식의 성악곡이다. 가곡의 전신(前身)은 삭대엽인데, 17세기와 18세기를 거치면서 파생곡을 낳았으며, 원곡과 파생곡의 관계에 따라 초수대엽, 이수대엽, 삼수대엽 등의 이름이 붙여졌다. 1969년 한국의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세계유네스코위원회의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두거는 곡의 첫머리를 높이 들어내어 소리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오늘은 여창으로 부른다.
○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노래/홍창남·이준아 - 피리/이종무, 대금/박장원, 해금/사현욱, 가야금/강효진, 거문고/박지현, 단소/이종범, 장구/안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