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2018 하반기 민속악단 정기 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민간 풍류[09.01.] - 04. 박종선류 아쟁산조

조회 334 1 0 다운로드 신청

  • 등록번호 A026426
  • 기록 분류민속악>기악>산조>아쟁 
  • 기록 일시2018.09.01 - 2018.09.01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음향
  • 저장매체음향DVD-R
  • 열람 조건온라인 열람, 다운로드 신청
  • 공공누리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내용

○ 2018 하반기 민속악단 정기 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민간 풍류[09.01.]의 네 번째 프로그램 조선시대 궁중음악 연주에 주로 사용되던 아쟁은 20세기 초, 창극과 무용 반주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원래의 아쟁(정악아쟁)보다 크기를 작게 하여 보다 높은 소리를 내게 하거나 음악적 표현을 자유롭게 하게 되었다. 아쟁산조는 산조의 역사에서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것으로 한일섭 명인이 그 시초이다. 박종선은 한일섭의 제자로 박종선류 아쟁산조는 스승의 산조에 자신의 가락을 얹어 재탄생시킨 것이다. 대부분의 산조가 남도의 가락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계면의 슬픈 정서가 묻어나지만, 유독 박종선류 아쟁산조는 그 슬픈 음색과 가락이 여느 산조보다 심하여 짙은 삶의 여정을 보여준다고들 평한다.
○ 연주/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아쟁/배런, 장구/정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