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8 하반기 민속악단 정기 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민간 풍류[09.01.]의 네 번째 프로그램 조선시대 궁중음악 연주에 주로 사용되던 아쟁은 20세기 초, 창극과 무용 반주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원래의 아쟁(정악아쟁)보다 크기를 작게 하여 보다 높은 소리를 내게 하거나 음악적 표현을 자유롭게 하게 되었다. 아쟁산조는 산조의 역사에서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것으로 한일섭 명인이 그 시초이다. 박종선은 한일섭의 제자로 박종선류 아쟁산조는 스승의 산조에 자신의 가락을 얹어 재탄생시킨 것이다. 대부분의 산조가 남도의 가락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계면의 슬픈 정서가 묻어나지만, 유독 박종선류 아쟁산조는 그 슬픈 음색과 가락이 여느 산조보다 심하여 짙은 삶의 여정을 보여준다고들 평한다. ○ 연주/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아쟁/배런, 장구/정준호
동영상 - 2018 하반기 민속악단 정기 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민간 풍류[09.01.] - 01. 박범훈류 피리산조
동영상 - 2018 하반기 민속악단 정기 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민간 풍류[09.01.] - 02.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동영상 - 2018 하반기 민속악단 정기 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민간 풍류[09.01.] - 03. 김영재류 해금산조
동영상 - 2018 하반기 민속악단 정기 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민간 풍류[09.01.] - 04. 박종선류 아쟁산조
동영상 - 2018 하반기 민속악단 정기 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민간 풍류[09.01.]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8 하반기 민속악단 정기 공연: 우리가 사랑하는 민간 풍류[09.01.] - 04. 박종선류 아쟁산조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