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2018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화무(和舞)[09.14.] - 04. 동래학춤

조회 188 0 1 다운로드 신청

○ 구음 아---나나느리----어-----어으---어--나---나느리 리----리루리-디—디루디---- 찌루지- 찌루지- 나루디- 이히이히루디- 나하- 나루디- 히--- 히- 히루디디- 히루디히- 히루디디- 나루디- 디후리- 나- 으흐흐어- 나- 나하- 나루디 니히- 니후디 누니- 수라자- 찌루찌- 어허어- 나 나하- 나루디- 니- 니루디- 니- 니루디-히- 히- 니루디- 히- 히이히- 히루디- 나- 나루디- 나흐나- 니히- 히루디- 히- 아리라- 더흐더흐 나- 나- 나루지 나나 나 띠루띠루띠- 나루지- 나루지 나나 히히- 누리디 히히- 얼쑤 얼씨구 좋다 다하 으잇 얼씨구 아하- 나하- 얼씨구 나하- 어헐쑤- 나- 나루디디 띠룻- 띠디- 띠루디 힛디- 띠루디- 나하--- 나루딧 히--- 이— 히루 딧디- 띠루디- 디히- 디루디디- 나루딧 히- 나하 나루디— 나하하— 나루디- 어허- 너허- 얼씨구 좋다- 나하- 아하- 나하- 얼- 씨구- 나하- 얼 씨구- 헤에- 어얼쑤- 나하- 옳지- 나- 하- 어이- 나- 나루지지- 찌루지 찟지- 띠루딧 띠디- 나하---- 나루지--- 히-------- 디히--- 디루디힛히----- 나흐나---- 짓- 핫 나--- 나루디--- 딧디히루디딧디 디루딧디디디루디 시루당당-지지-라아- 너- 너흐너허-아 나루지- 디- 디루디히- 히- 디루디히— 디루디 히----- 아하- 딧디- 디히리- 디루딧디- 디히- 나하- 나루짓 나하- 나히나아- 나루지 얼씨구 얼씨구좋다- 나하- 으잇- 얼씨구- 좋오타- 으잇- 나아- 나하- 얼씨구 나- 나루디 디룻디디- 디루딧 디루디— 나하----------- 나루딧- 디히---- 디루딧디--- 디루디히우디- 나루디힛- 히두리-다하------- 나루디-- 아- 딧히-디- 디루디히디- 디히- 디루디히---------- 딧히-딧- 디루디히- 다하--- 나루디---- 얼—씨굿

  • 등록번호 A026547
  • 기록 분류무용>전통무용>궁중무용>향악정재>학무 
  • 기록 일시2018.09.13 - 2018.09.14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예악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음향
  • 저장매체음향DVD-R
  • 열람 조건온라인 열람, 다운로드 신청
  • 공공누리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내용

○ 2018 국립국악원 무용단 정기공연: 화무(和舞)[09.14.]의 네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학의 동작을 표현한 동래학춤은 부산 동래지역의 동래야류에서 연행되던 춤사위가 독립한 것으로, 동래 덧배기춤의 한 분파이다. 주된 춤사위는 학이 날개를 너울거리며 가볍게 뛰어다니는 사위, 날개를 폈다가 오므리는 사위, 땅에 서서 상하 좌우를 바라보는 시늉을 하는 사위 등 이며 학의 다양한 자세와 동작을 형상화한다. 이 춤은 본래 홀춤으로 추었으나 요즘에는 주로 군무로 연희되고 있다. 반주는 사물악기(징, 꽹과리, 북, 장구)가 중심이 되며, 장단은 굿거리장단이 사용된다.
○ 무용/국립국악원 무용단 - 김태훈·박상주·김청우·정현도·김서량·김진우·전수현·김현우 ○ 연주/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꽹과리/박은하, 징/이홍구, 장구/김수용, 북/강병혁

관련자료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