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전통무용발표회 No. 1[1981.05.19.]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프로그램 해설 춘앵전(春鶯囀)은 봄날 버드나무 가지 위에 앉아 노래하는 작고 귀여운 꾀꼬리를 춤으로 표현한 궁중무용이다. 조선 순조 때 효명세자가 어머니의 생신 축하연을 위해 창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용수는 꾀꼬리를 상징하는 노란색 의상을 입는데, 이것을 앵삼(鶯衫)이라고 한다. 머리에는 화관을 쓰고, 허리에는 붉은 띠를 두르고, 손에는 한삼을 끼고, 꽃무늬를 수놓은 작은 화문석(돗자리) 위에서 혼자 춤을 춘다. 제한된 공간에서 추기 때문에 춤사위는 크지 않지만 우아하다. 춘앵전에서만 만날 수 있는 춤사위로 화전태(花前態)가 있는데, 꽃 앞에서의 아름다운 자태를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두 팔을 뒤로 모으고 몸을 조금씩 좌우로 향하며, 마지막에는 이를 조금 드러내며 살짝 짓는 미소를 짓는데 이것을 ‘미롱’이라고 한다. ○ 무용/국립국악원 무용단
음향 - 전통무용발표회: 김천흥 재현안무 No. 2[1981.05.19.] - 01. 하성명
음향 - 전통무용발표회: 김천흥 재현안무 No. 2[1981.05.19.] - 02. 제수창
음향 - 전통무용발표회: 김천흥 재현안무 No. 2[1981.05.19.] - 03. 오양선
음향 - 전통무용발표회: 김천흥 재현안무 No. 2[1981.05.19.] - 04. 무애무
음향 - 전통무용발표회: 김천흥 재현안무 No. 3[1981.05.19.] - 01. 처용무
음향 - 전통무용발표회: 김천흥 재현안무 No. 3[1981.05.19.] - 02. 몽금척
음향 - 전통무용발표회: 김천흥 재현안무 No. 2[1981.05.19.]
음향 - 전통무용발표회: 김천흥 재현안무 No. 3[1981.05.19.]
건물 보수공사로 인하여 시청각자료에 대한 편집 서비스가 일시 중단 될 예정입니다. 5.12(월)부터 순차적으로 서비스 될 예정이오니 이용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전통무용발표회: 김천흥 재현안무 No. 1[1981.05.19.] - 02. 춘앵전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