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이 없습니다.
개요
2010년 7월 3일 15시 국립민속국악원 예원당에서 개최한 '2010 국립민속국악원 기획공연 : 국악모자이크, 국악모자이크, 방수미 판소리 강산제 심청가' 실황을 예원당 보유장비로 녹음한 음향자료.
내용
01. 판소리 <심청가> ㅇ 판소리/방수미 (춘향제 전국 판소리 명창대회 일반부 대상, 국립민속국악원 창극단 단원), 고수/서은기 (국립민속국악원 국악연주단 총무) ㅇ 곡해설- <심청가>는 앞 못 보는 심봉사의 딸 심청이 태어나자마자 어머니를 잃고 아버지의 동냥젖으로 자라나서 15세에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려고 공양미 300석에 몸이 팔려 임당수에 빠졌으나 하늘의 도움으로 세상에 나와 황후가 되었고, 맹인 잔치에서 아버지를 만나 눈을 뜨게 된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이다. <심청가>는 조선조 중기에 이미 불렸을 것으로 송만재의 <관우희>, 이유원의 <관극팔령>, 이건창의 <부심청가 2수>와 같은 조선 후기 문헌에만 보인다. 순조 때의 명창 김제철이 <심청가>를 잘 불렀는데 특히 심청이 탄생하는 대목이 그의 더늠이라 한다. 철종 때의 박유전·주상환·이날치·김창록 등과 고종 때의 명창 이창윤·전도성·이동백·김채만 등이 심청가를 잘 불렀다 한다. 강산제(江山制)는 서편제의 명창 박유전(朴裕全)의 소리를 이어받은 것으로 그가 말년에 전남 보성군 웅치면 강산리(江山里)에서 살면서 서편제를 바탕으로 우조(羽調)의 맛을 입힌 새 유파를 개발하여 강산리의 건너 마을에 살았던 정재근(鄭在根)에게 전함으로 말미암아 정응민(鄭應珉)으로 이어지는 서편제의 한 갈래를 강산제라 하며 보성지역에서 전승되어 ‘보성소리’라고도 부른다. 강산제는 특히 계면조 창법에 있어서 남자가 흐느껴 우는 처절하고 숙연한 ‘그늘진 목소리’로 소리 마디마디에 심력을 다하여 판소리 주인공들의 갖가지 한을 표현함으로써 시달림 받는 서민들을 대신하여 울음을 토하는 예술이었다. 오늘의 공연은 남해성 선생님으로부터 사사받은 방수미의 강산제 ‘심청가’ 이다.
제작진
총제작·지휘/이영우, 기획/정상열, 지원/이호, 진행/신승섭·한정원·정수임, 홍보/오용문·주낙준·송은아·윤정하·김민성, 무대감독/최영안, 기계/윤광현, 조명/양태석·이성현, 음향/박기용·기윤종, 영상/류종선, 장치/김영삼·이창규, 의상/이경숙, 악기소품/김정남
주최정보
주최/국립민속국악원
동영상 - 2010 국립민속국악원 기획공연 : 국악모자이크, 방수미 판소리 강산제 심청가[07.03]
이미지 - 2010 국립민속국악원 기획공연 : 국악모자이크, 방수미 판소리 강산제 심청가[07.03]
복합 - 2010 국립민속국악원 기획공연 : 국악모자이크, 방수미 판소리 강산제 심청가[07.03] 팸플릿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2010 국립민속국악원 기획공연 : 국악모자이크, 방수미 판소리 강산제 심청가[07.03]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