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01. 둥기타령 (01:03~02:59 / 1분 55초)
02. 영감 하나를 얻은 것이 (03:00~03:35 / 35초)
03. 아이고 여보 아주머니 (03:38~04:16 / 38초)
04. 불러를서라 (04:25~06:02 / 1분 37초)
05. 함양양잠가 (06:31~08:17 / 1분 46초)
06. 양산도 (08:33~09:58 / 1분 25초)
07. 모심는소리 (10:10~12:26 / 2분 17초)
08. 동풍가 (12:35~14:52 / 2분 17초)
09. 질꾸내기 (14:57~17:02 / 2분 5초)
10. 깨쪼백일레 (17:10~18:55 / 1분 45초)
11. 양산도 (19:08~20:22 / 1분 14초)
12. 모심는소리 (20:31~24:46 / 4분 15초)
13. 방아타령 (24:47~26:15 / 1분 28초)
14. 노랫가락 (26:16~27:11 / 55초)
15. 상여소리 (27:14~31:07 / 3분 53초)
* SIDE1 재생시간: 31분 14초
01. 어이야 영차 애화요 (00:10~05:44 / 5분 34초)
02. 이야기 (06:00~10:00 / 4분)
* SIDE2 재생시간: 10분 24초
<해설>
01. 희귀한 통속민요류의 노래.
02. 비속어가 남발되는 영감타령.
03. 육자배기조의 노총각 신세타령.
04. 진행자가 ‘양산도’를 청하니 이 노래를 불렀지만 양산도 곡조가 아님. 일반적으로 논매는소리 곡조이나 확실치 않음.
05. 신민요류의 노래.
06. 진행자가 계속 양산도를 청하자 기억을 해내서 부름. 기능 미상.
07. 정자소리 곡조의 모심는소리. 짧으나 곡조 괜찮음.
09. 육십령 부근 백두대간 좌우에 공통적으로 분포한 곡. 곡조 좋음.
10. 곡조, 가사 좋음. 사당패소리의 하나로 짐작됨.
11. ‘이전(옛날) 양산도’라고 하면서 부름.
12. 중간에 잡음이 많이 들어감.
13. 통속민요류의 방아타령.
15. 전체적으로 곡조, 후렴이 미흡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