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01. 논매는소리(호미질) (01:00~07:15 / 6분 15초)
○ 소리/김판술(70)
02. 논매는소리-아가시소리(1) (07:15~08:43 / 1분 28초)
○ 소리/김판술(70)
03. 논매는소리-방개소리 (08:59~11:57 / 2분 58초)
○ 소리/김판술(70)
04. 대담 (11:57~19:33 / 7분 36초)
○ 대담/김판술(70)
05. 육자배기 (20:22~23:00 / 2분 38초)
○ 소리/김판술(70)
06. 논매는소리 (23:21~29:26 / 6분 5초)
○ 소리/김판술(70)
07. 벗짐나르는소리(나락등짐소리) (29:40~32:38 / 2분 58초)
○ 소리/김판술(70)
08. 다리세기노래 (33:35~35:00 / 1분 25초)
○ 소리/김판술(70)
09. 상여소리 (35:24~47:11 / 11분 47초)
○ 소리/김판술(70)
10. 풍뎅이노래 (48:50~50:26 / 1분 36초)
○ 소리/김판술(70)
11. 꿩꿩 장서방 (50:26~51:18 / 52초)
○ 소리/김판술(70)
12. 각설이타령(54:55~59:08 / 4분 13초)
○ 소리/김판술(70)
13. 대담 (59:08~1:01:37 / 2분 29초)
○ 대담/김판술(70)
14. 논매는소리-아가시소리(2) (1:01:37~1:02:58 / 1분 21초)
○ 소리/김판술(70)
15. 영변가 (1:03:13~1:06:02 / 2분 49초)
○ 소리/김판술(70)
* 총 재생시간: 1시간 6분 23초
<해설>
01. 긴 호흡의 논매는소리. 혼자 불러 아쉬우나 고형의 선율형으로 보임.
02. 논매기를 마무리하는 소리로 짐작됨.
03. 방개소리 계통의 논매는소리. 혼자 부름.
05. 머슴들이 품앗이로 퇴비할 때 풀짐 짊어지고 내려와 부리고는 저 건네 아지랑이 사이로 바라보며 ‘산유화’를 한다고 하면서 이 노래를 불렀는데, 곡조는 ‘육자배기’임. ‘산유화’라는 곡명의 의미에 대해 참고할 만한 증언임.
06. 1번곡 논매는소리를 다시 부름.
07. 볏짐을 지게에 지고 운반하면서 하는 소리. 일명 ‘나이나타령’. 귀한 소리임. 나락 비면서 하는 소리는 없고 보리타작소리도 여긴 없다고 함.
09. 발인할 때, 평지를 갈 때, 언덕 오를 때 하는 상여소리를 이어서 부름. 곡조, 가사 좋음. 이 마을에서는 무덤다지는소리는 안 한다고 함.
12. 가사가 풍부함.
14. 앞서 부른 논매는소리-아가시소리를 다시 부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