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01. 차비(差備) : 회례연에 앞서 새로이 제작된 복식과 의물, 악기와 악곡을 점검
ㅇ 음악/전폐희문
02. 취위(取位) : 연회에 참석한 문무백관과 임금이 연회의 자리에 위치
ㅇ 음악/융안지악
03. 차대상주(次對上奏) : 1424년~1432년 동안 정비된 아악에 대해 보고
04. 제1작 : 첫 번째 술잔을 올림
ㅇ 음악/휴안지안·문명지곡, 무용/문무
05. 제2작 : 두 번째 술잔을 올림
ㅇ 음악/수명명지악·무열지곡, 무용/무무
06. 경연(經筵) : 문무, 무무 및 악기의물8점에 대한 논평을 나눈다
ㅇ 음악/납씨가·여민락
07. 제3작 : 세 번째 술잔을 올림
ㅇ 음악/보허자, 무용/오양선
08. 제4작 : 네 번째 술잔을 올림
ㅇ 음악/동동, 무용/아박
09. 제5작 : 다섯 번째 술잔을 올림
ㅇ 음악/수제천, 무용/무고
10. 후문(後聞) : 조선의 음악에 대한 세종의 포부를 밝힘
ㅇ 음악/정대업·영관
11. 예필(禮畢) : 모든 의식을 마치는 절차
ㅇ 음악/본령
* 총 재생시간: 1시간 41분 24초(00:00:01~01:43:38)
제작진
연출/김석만(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 예술감독/김한승(국립국악원 정악단)·계현순(국립국악원 무용단), 음악자문/최충웅·정재국, 정재안무/이흥구·김영숙, 음악구성/이영(국립국악원 정악단 악장), 정재구성/하루미(무용단), 대본구성/남동훈(연출가, 서울시극단 지도단원), 연구고증/이숙희(국립국악원 학예연구관), 무대디자인/이태섭(용인대학교 연극학과 교수), 조명디자인/이상봉(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 영상디자인/최성원(용인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교수), 복식코디네이터/황연희(공연의상 디자이너), 의례자문/김거부(법고창신 대표), 정재지도/최경자·심숙경(국립국악원 무용단 지도위원), 분자/이재형, 조연출/권순재·정현, 무대디자인/박은혜, 영문번역/김희선, 궁중찬안/궁중음식연구원, 홍보물디자인/디자인필·김정규·정영우, 총제작/박일훈, 제작총괄/이재형, 제작지원/김용삼·이용식·주석길·서인화·김정수·이규산·박동순, 기획·진행/김명석·이정희·박성범·김갑수·강여주, 홍보진행/김재철·성현경·이승재·지희숙·김보람, 무대감독/류호철, 고객지원/전상용·박봉선··유은희·김유리, 음향/황수현·김홍철·조은철·최정묵·박원배·송영진, 조명/김근태·강해룡김선국·김홍장·천경호·박종문·송인훈, 장치/이상현·이영식·송낙원·이재만·최수현, 소품/황주연·김태균·이재유·전상욱·정욱, 기계/정태복·이홍주·박호준·이설환, 의상/서순덕·신귀희, 영상/강상욱·허정은, 홍보물디자인/디자인필·김정규·정영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