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이해식선생이 소장한 자료 중 1970년대~80년대까지 수집한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축제 프로그램, 사진, 녹음테이프와 경상도 지방 토속민요의 현장채집 기록물 등 약 3003점의 자료를 2007년 민속 연구 자료로서의 활용과 공유를 기대하며 국립국악원에 기증함. 그 중 본 자료는 기록일시 기록장소 미상인 곳에서 녹음한 '향두가, 勞作의 律動(노작의 율동)'의 음향자료임.
내용
<수록내용 (변환 후 조사된 내용을 근거로 작성)>
01. 勞作의 律動(노작의 율동) (재생시간 20:05)
02. 향두가 (재생시간 29:00)
<추가설명 (변환 후 발견된 특이사항)>
01. 勞作의 律動(노작의 율동) 00:00:18 "노작의 율동"(전체적으로 노래들 사이사이 곡에 대한 설명 나래이션) 00:02:16 "목도소리다" 00:03:20 "망깨소리 역시 듣기가 힘들어졌다." 00:04:05 남자들의 노동요에 대한 이야기 00:05:00 덜구소리 이야기 00:06:20 행상소리 이야기 00:06:55 행상소리의 멋 00:07:40 "상여소리는 보수성을 지닌 민요다" 00:07:58, 00:08:56 노젓는 소리 이야기 00:09:22 해녀 뱃노래 00:10:20 맷돌소리 이야기 00:11:17 솜을 틀때 부르는 둥당기타령 00:12:04 베틀노래 00:13:03 베틀노래의 멋 00:13:18 나래이션-새로 밝아오는 농촌 00:14:57 논메기 노래 00:16:08 보리타작소리 00:17:32 노동의 형태가 달라지면서 노작요도 스스로 멎어진다 00:18:20 음악의 기원 00:18:40 지금까지 잊혀져 가는 우리의 노작의 가락을 각 지방에서 채집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00:19:31 아세아 방송 연맹에서 주최한 국제방송콘테스트 '노작의 율동'이 방송문화재단상을 받았습니다
02. 향두가 00:00:05 "녹음테잎입니다" 00:01:30 "상여소리 향두가에 대해서" 00:02:10 "향두가를 부르는 방법" 00:04:09 "전북 고창지방에서 부르는 되오라기 소리" 00:04:29 "하늘에 보내는 축문" 00:05:30 상례는 비용이 많이 들므로 마을 사람들끼리 향두계를 들어 보험 역활을 한다, 00:06:20 여보시오 사자님들 노잣돈도 가져가오 죽은 사람의 저승 가는 길에 노잣돈도 걱정하는 인간의 순박한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한국의 상여소리 발생에 대해서 민속학자 임동건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가는 도중 만가를 부르고 목이 아프면 쉬었다가 또 만가를 부르고 00:08:20 노래 가사 00:08:53 지금 들으신 것은 전남 강진의 상여소리입니다 00:10:49 상여소리는 조상들이 남겨둔 귀중한 것으로 민요연구가 권오성씨의 말을 들어봅니다 00:11:10 고인의 업적 등을 높이 평가하여 죽을 때까지 모습을 묘사함으로써 인생가로써의 역할 진실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음 00:12:12 천지 천지~(노래가사) 00:13:18 강원도 영월지방의 상여소리처럼 상여소리의 세가지 내용 00:13:54 문소리 00:14:14 직접 민요를 채집한 이해식씨에게 마이크를 넘깁니다. 여기는 해남군 남면 우수영입니다. 결혼식과 상여소리가 동시에 이 곳의 상여소리는 어느 예술문화보다 빼어난 것이라 하겠습니다 00:16:16 임동건 박사의 말을 들어보면, 상여를 메고 가는 것도 일종의 노동이거든요. 상여 메는 것은 신분이 천하지 않다. 노동을 하면서 노래가 노동의 고통을 심리적으로 감축시켜준다. 노동요의 기능 00:17:28 자진 상여소리 노래라기보다는 구호와 같습니다. 00:18:29 이어서 무덤을 다질 때 부르는 덜구소리가 있습니다 00:19:00 덜구소리 가사 00:19:20 산이 많은 삼척의 덜구소리입니다 00:20:10 무덤을 만들 때 알무덤에 들어가면 재생한다는 뜻이 있는거죠 국문학자 서정범 교수의 말이었습니다. 00:20:53 이조 후에 상여소리를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00:21:10 판소리의 향두가는... 지금 들으시는 판소리는 심청가 중에 상여소리입니다. 00:22:32 판소리의 기원이라고 추측되는 무가에서도 상여소리가 발견됩니다. 00:22:50 서해안의 연평도 지방의 상여소리는 좀 더 색다른 맛을 풍겨주고 있죠 00:24:24 국문학자 서정범 교수의 상여소리에 숨겨진 한국인의 의식에 관해, 꽃세계로 간다. 꽃은 재생의 의미를 지닌다. 심청전 비유, 상여에 꽃이 있는 이유도 00:26:20 인간의 울음은 최상의 음악이다. 최상의 음악이 있는 한 상여소리도 영원히 전해질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