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이 없습니다.
개요
이해식선생이 소장한 자료 중 1970년대~80년대까지 수집한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축제 프로그램, 사진, 녹음테이프와 경상도 지방 토속민요의 현장채집 기록물 등 약 3003점의 자료를 2007년 민속 연구 자료로서의 활용과 공유를 기대하며 국립국악원에 기증함. 그 중 본 자료는 1976년 10월 22일에서 24일까지 진주 공설운동장에서 열린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의 서울 도당굿, 전북 농악, 평남 향두계놀이를 녹음한 음향자료.
내용
<수록내용(변환 후 조사된 내용을 근거로 작성)>01. 서울도당굿 (재생시간 23:05)02. 전북농악 (재생시간 07:45)03. 평남 항두계놀이 (재생시간 20:00)<추가설명 (변환 후 발견된 특이사항)>01. 서울도당굿 잡음 심함, 녹음상태 불량, 노래 뚝 끊김03. 평남 항두계놀이 전체적인 바람소리, 00:11:32 "평남팀 항두계놀이, 10명"
복합 - 第17回 全國民俗藝術競演大會 서울特別市 出演作品(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서울특별시 출연작품): 도당굿놀이·선소리 산타령[1976.10.22.~10.24.] 팸플릿
복합 - 第17回 全國民俗藝術競演大會(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金馬旗歲拜·任實三溪農謠(금마기세배·임실삼계농요)[1976.10.22.~10.24.] 팸플릿
복합 - 第17回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강강술래놀이[1976.10.22.~10.24.] 팸플릿
복합 - 第十七回 全國民俗藝術競演大會出演案內(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출연안내): 耽羅의 民俗(탐라의 민속) 차사영 맞이·멸치 후리는 노래[1976.10.22.~10.24.] 팸플릿
복합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 참가작품: 江陵端午굿(강릉단오굿)[1976.10.22.~10.24.] 팸플릿
음향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진주) 2[1976.10.]
음향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진주) 3[1976.10.]
음향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진주) 4[1976.10.]
복합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부산시 대표: 동래지신밟기·동래학춤·수영야류[1976.10.22.~10.24.] 팸플릿
복합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출연안내: 우리고장의 민속놀이 경기농악[1976.10.22.~10.24.] 팸플릿
복합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진주): 안동군 저전동 '달개놀이'[1976.10.22.~10.24.] 팸플릿
복합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忠北(충북) 괴산군 청안면 조천리 농악·忠北民謠(충북민요)[1976.10.22.~24.] 팸플릿
복합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민속놀이 고무산타령[1976.10.22.~10.24.] 팸플릿
복합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북청사자놀음(중요무형문재 제15호)[1976.10.22.~10.24.] 팸플릿
복합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제27회 개천예술제 안내[1976.10.22.~10.26.] 팸플릿
복합 -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출연: 서도민요 배따라기[1976.10.22.~10.24.] 팸플릿
저작권 정책으로 즉시 다운로드가 지원되지 않는 기록입니다.원하시는 기록 파일을 선택하시고 사용 목적 등을 작성해 주시면 마이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미디어자료는 신청 후 3일 이후부터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제17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진주) 1[1976.10.]
추가할 위치를 선택하세요
새 라이브러리 추가
라이브러리에 추가하시면 자동으로 즐겨찾기로 설정이 됩니다.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검색어
※ 여러 개의 단어를 입력하실 때는 쉼표(,)로 구분해 추가 가능합니다.
기록 정보
검색 결과 또는 기록 목록 페이지에서도 범위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필터링 조건이 지원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