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9 정악단 기획공연: 정가 깊이 듣기 '임 그린 상사몽이'[07.04.]의 열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평롱은 원래는 농(弄)의 하나였으나, 이 곡조의 변형인 <얼롱(乻弄)>이 파생한 뒤에 평롱으로 불리게 되었다. 평롱의 '평'은 낮다는 뜻으로 처음을 보통의 음높이로 불러, 시작을 높게 질러 내는 <얼롱>과 대비된다. 남창과 여창에 두루 불리고, 음계는 황(黃)·중(仲)·임(林)의 3음으로 된 계면조(界面調)이다. 남창·여창 모두 5장과 대여음(大餘音)·중여음(中餘音)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장단도 모두 10점(點) 16박의 기본 가곡장단을 사용하고 있다.
'북두칠성'은 밤새 연인과 정담을 나누는데 빨리 아침이 오니, 아침을 알리는 샛별이 뜨지 말도록 해달라는 아쉬운 심정을 표현한 내용이다.
○ 출연/국립국악원 정악단
- 여창/조일하
- 생황/이종무, 단소/이오훈, 거문고/이웅, 양금/조유회, 장구/홍석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