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5 풍류사랑방 기획공연: 토요정담 '파랑새 찾는 남자'[04.11.] 클린본의 다섯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경기잡가는 서울ㆍ경기지방에서 전문적인 소리꾼들 사이에 전승되어 오던 노래이다. 자리에 앉아서 단정하게 부르는 좌창(坐唱)과 서서 춤사위를 섞어 부르는 입창(立唱)이 있는데, 보통 경기잡가라 하면 좌창을 말하며, 12곡이 전승되고 있어 십이잡가라고도 한다. 입창은 선소리라고 한다.
제비가는 십이잡가 중 하나로, 앞부분에서는 도드리장단으로 여유롭게 부르다가 세마치장단으로 바꾸면서 다소 흥겨운 느낌으로 노래하는 등 리듬과 곡조에 변화를 주어 감상의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사는 판소리 흥보가, 남도민요 새타령 등에서 널리 알려진 부분을 인용해 다양한 새들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는데, 맨 처음 '만첩산중(萬疊山中) 늙은 범 살찐 암캐를 물어다 놓고 에 - 어르고 노닌다.'라는 춘향가 중 긴 사랑가의 앞부분을 가져다 불러서 전반적으로 사랑과 이별의 감정을 담고 있음을 보여준다.
○ 소리/이금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