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목요풍류: 두고 온 소리, 보고픈 산하[2017.03.09.] - 01. 긴 난봉가·자진 난봉가·빠른 난봉가·사설 난봉가·풍구타령

조회 97 0 0

○ 긴난봉가 아하 에헤야 에헤 에헤 어허야 어럼마 둥둥 내사랑아 정방산성 초목이 무성헌데 밤에나 울 닭이 대낮에 운다 에헤 에헤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오금이 오실오실 춥고 골머리 사지통 나는건 임자로 연하여 난병이로다 에헤 에헤야 어럼마 둥둥 내 사랑아 ○ 자진난봉가 넘어간다 넘어넘어 간다 자주하는 난봉가 훨훨 넘어간다 에헤 에헤야 어야더야 어허야 어럼마 디여라 내 사랑아 실죽 밀죽 잡아당길 줄만 알았지 생사람 죽는줄 왜몰라주나 에헤 에헤야 어야더야 어허야 어럼마 디여라 내 사랑아 사랑사랑 사랑아 내가놀든 사랑아 한아름 덤썩 안구서 단둘이 놀든 사랑 에헤 에헤야 어야더야 어허야 어럼마 디여라 내 사랑아 ○ 빠른 난봉가 에헤 에헤 어허야 어야야 디야 내 사랑아 능라도 수양버들 내가 휘여잡구서 가지를 말라고 생야단이라 에헤 에헤 어허야 어야야 디야 내 사랑아 님에 저리 다정타고 속에 속정을 주지 마라 일후에 남되면 후회 막급이라 에헤 에헤 어허야 어야야 디야 내 사랑아 ○ 사설 난봉가 에헤 에헤에 어허야 어야야 디야 내사랑아 에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이 난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이 나고 이십리 못가서 불한당 만나고 삼십리 못가서 되돌아오리라 에헤 어야 어야더야 내 사랑아 에헤 왜생겼나 왜생겼나 요다지 곱게도 왜생겼나 왜생겼나 왜생겼나 요다지 곱게도 왜생겼나 무쇠풍구 돌풍구 사람에 간장을 다 녹여 내누나 에헤 어야 어야더야 내사랑아 에헤 앞집 처녀(체네)가 시집을 가는데 뒷집에 총각은 목 매러 간다 앞집 처녀(체네)가 시집을 가는데 뒷집 총각이 목 매러 간다 사람 죽는건 아깝지 않으나 새끼 서발이 또 난봉 나누나 에헤 어야 어야더야 내사랑아 에헤 달도 밝소 별도 밝아 월명사창에 저 달이 밝아 달도 밝소 별도 밝소 월명사창에 저 달이 밝아 처녀 총각이 단둘이 만나 죽을동 살동 살동 죽을동 아무도 모르게 막 놀아 나누나 에헤 어야 어야더야 내사랑아 에헤 물 길러 간다고 강짜를 말고 부뚜막 우에다가 우물을 파렴 물 길러 간다고 강짜를 말고 부뚜막 우에다 우물을 파려마 에헤 어야 어야더야 내사랑아 ○ 풍구타령 어이야차 불어라 불불어주구려 슬근 살짝 불어도 만대장이 나온다 삼수갑산 풍구는 칠팔인이 불어도 우리무쇠 돌무쇠 쾅쾅 녹아서 나온다 어이야차 불어라 불불어주구려 슬근 살짝 불어도 만대장이 나온다 덕대네 아주마니 인심이 좋아서 먹기좋은 탁배기 철철흘러서 나온다 어이야차 불어라 불불어주구려 슬근 살짝 불어도 만대장이 나온다 이무쇠를 녹여서 무슨쟁기를 만들까 가마보습 부어서 문적옥답을 갈아보세 어이야차 불어라 불불어주구려 슬근 살짝 불어도 만대장이 나온다

  • 등록번호 V017210
  • 기록 분류민속악>성악>민요>통속민요>서도>긴난봉가 
  • 기록 일시2017-03-09 20시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동영상
  • 저장매체스토리지

내용

○ 목요풍류: 두고 온 소리, 보고픈 산하[2017.03.09.]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난봉가는 서도음악을 대표하는 음악의 하나로 멋스런 장단 변화가 예술적인 작품이다. 긴 난봉가부터 사설 난봉가로 이어지는 난봉가 계열의 음악은 '난봉'이라는 어휘로 인해 간혹 외설성의 오해를 받긴 하지만 외설보다는 '자유분방함'을 느낄 수 있는 음악이라 할 것이다. 남성과 여성이 콤비를 이루어 주고받으며 부르는 부분은 매우 흥미롭다. 난봉가계열의 음악을 통해 서도민요의 해학과 예술성을 충실히 감상할 수 있다. 풍구타령은 '여기여차 불어라, 불불 불어라'라고 시작하는데, 쇠를 녹일 때 용광로에 바람을 넣기 위해 풀무질하며 부르는 서도소리이다.
○ 출연/전화자(연변대학 예술학원 초빙교수)·최성룡(연변대학 예술학원 부학장) - 전화자는 연변예술학교에서 민족성악을, 상해음악학원에서 한족성악을 전공한 이후 연변대학 예술학원 교수를 역임하였다. 한편 국립국악원에서 경서도 민요를 배웠다. 현재 연변대학 예술학원의 명예교수이다. 연변인민방송국에서 400여수의 민요를 녹음한 바 있고 전화자 민요 독창음반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발성법 연구에도 정통하여 「조선민족성악 발성방법」, 「민족성악과 성음훈련」 등의 논문과 저서를 남겼다. 한국과 중국 양국의 민요에 관한 연구에 정통하여 「중국조선민족성악과 한국경서도민요 비교연구」와 같은 논문을 남겼다. 최성룡은 연변예술학교와 연변대학 예술학원에서 공부하고 단국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중국 조선족 성악콩쿨 민족성악부에서 1등상을 수상했고, 한국 서도소리 경연대회에서 금상, 한국국악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수상 경력이 화려하다. 오랜 기간 연마한 민요를 담은 음반집과 민요집을 출판한 바 있으며 「서도민요발음법연구」, 「서도잡가 초한가연구」 등의 논문을 비롯하여 「경서도민요 비교연구」와 같은 저서도 남겨 서도소리에 정통한 연주자이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유지숙 악장에게 서도소리를 배웠다. ○ 반주/국립국악원 민속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