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우면당 재개관 기념공연: 우면당, 새 길을 걷다 ’민속악단 - 시절풍류, 풍류시절’[2017.02.16.] - 02. 화초사거리

조회 206 0 1 다운로드 신청

○ 화초사거리 산천초목이 속잎 헌다 헌디 구경 에헤 어허야 어허디이 아무리 허여 어기얼싸 에헤로구나야 아아 에헤야 에헤 어허야 어리이 아무리 허여 어기얼싸 에헤로구나 뒤야 어어 어허 어리이 이이얼싸 네로구나 이이이 어디이얼싸 네로구나 어기이얼싸 에헤야 어야라 어허 어기얼싸 어리이이 얼시구나 절시구나 말들어 보아라 어어디이 어어리이이 어리이 이이 이이 어허야 어야라 어허 어기얼사 네로구나 운다봐라 어기얼싸 송살이로다 얼씨구나 절씨구나 말들어 보아라 녹양 굽은길도 다 다저물어 지는 날이로다 이렁성 저렁성 수이도 가며 아이고 이놈의 노릇을 어찌 어찌 허드란 말이냐 이렁성 저렁성 함부로 덤부로 살아보세 일수야 어허디이 어허 어허 어야 아아 어 어기얼싸 네로구나 성화당 어리굼벅궁 송살이로다 이산으로 가도 어리굼벅새야 저산으로 가도 어리굼벅새야 어기얼싸헤 어기얼싸헤 헤야 아아 어기얼싸 네로구나 야야 집안아야 말들어라 야야 총각아이야 말들어 보아라 너그 누님이 날마다고 머리깍고 송낙쓰고 금강산으로 중노릇 간단다 이창 저창 사모장창 날로 땡그렁 부러진 장창 어허어 어기얼싸 네로구나 고산에 심도허 물 안도 구부러져 워리렁 출렁 뒤둥그러졌네 춘수나니 낙락 기러기 새끼는 훨훨 낙락장송이 와자지끈 후두락 뚝 딱 부러져 이고부 저고부 세고부 한테로 합수쳐 얼씨구나 야야 지화자 좋네 절시구나 야야 지화자 좋구나 어어어어어어허허 어기얼싸 네로구나 가자 가자 가자 구경을 가자 서라 금강산으로 화류 구경 가자 서라 한라산도 백두산도 어리 추천 들어가니 초당 삼간을 다 지었 더라 왠 갖 화초를 다심었더라 맨드라미 봉선화며 외철쭉 진달화며 넌출넌출 심었다 파초잎은 여기도 넌출 심었네 저기도 넌출 심었구나 어허 어허 어기얼싸 네로구나 여보시오 한량님네 오셨다 섭섭허니 막걸리 한동우를 드러마시거나 말거나 한송정 술을 빚어라 무슨 술을 다빚었더냐 명천 두견주 한산에 소곡주로다 어허어리이 어허어기야 청청천 흰가마귀 떠 두다리 쫓아 가가감실떠 평양 대동강산에 돛대선이 떠 나랏님 거동시에 회양산이 떠 양산밑에는 일사산이 떠 히얏다 일사산 밑에는 권마성이 떴다 만경창파 관장 오리 떴다 아주 설설 높이 떴구나 네로구나 네로구나 노나 어허 어허 어허 어허 루 산하지로구나 거나 헤

0
  • 등록번호 V017184
  • 기록 분류민속악>성악>잡가>남도입창>화초사거리 
  • 기록 일시2017.02.21 - 2017.02.25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동영상
  • 저장매체스토리지
  • 열람 조건온라인 열람, 다운로드 신청
  • 공공누리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내용

○ 우면당 재개관 기념공연: 우면당, 새 길을 걷다 '민속악단 - 시절풍류, 풍류시절'[2017.02.16.]의 두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화초사거리, '가자 가자...금강산으로 화류 구경을 가자서라' 우리나라 전통민요는 지역적 분포에 따라 크게 경·서도민요, 동부민요, 남도민요로 나눈다. 남도민요의 권역은 넓게는 전라도·충남일부·경남일부 등 삼남지방에 이른다. 굵은 요성과 함께 흔히 꺾는 음이라 하여 반음 하행하는 시김새가 특징적이다. 육자배기, 흥타령, 진도아리랑, 농부가, 남원산성 등 많은 통속민요가 전승되고 있다. 남도민요는 판소리나 산조, 가야금병창 같은 민간 예술음악의 모태가 되는 음악이며, 지금도 주목받는 민요로서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비교적 두터운 관객층을 확보하고 있다. 흔히 전라도지방의 민요를 남도민요라 일컫는데, 화초사거리는 대표적인 남도민요 중 하나이다. ‘선소리 산타령’에서 비롯되었으며 ‘화초염불’이라 부르기도 한다. 화초사거리의 가사를 살펴보면 창자가 팔도강산 산천구경을 두루 다니면서 발견한 명승지나 산천경개의 멋진 경관을 긴 이야기로 들려주고 있다. 언젠가 전국 명승지를 두루 다니며 이 노래를 흥얼거릴 수 있을 희망의 그 날을 꿈꾸며 들어보자. - 글/최상화(중앙대학교 예술대학 전통예술학부 교수)
○ 소리/양명희·박현숙·유미리·이주은·위희경·염경애·조정희

관련자료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