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정악단 하반기 정기 공연: 행악(行樂) 길 위에 음악을 펼치다[2016.09.10.]의 다섯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보허자(步虛子)>는 송나라에서 들어온 이후 주로 궁중 연향에서 무용 반주 음악으로 사용되었고, 왕세자의 거동 때에도 연주한 기록이 있다. 원래는 정재(呈才) <오양선(五羊仙)>에서 부르는 '벽연농효사(碧煙籠曉詞)'에 붙은 선율이었는데, 전승과정에서 구조와 선율 등에서 많은 변화를 거쳤다. 현재는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등에 수반되는 '천문해일선홍사(天門海日先紅詞)'를 얹어 부르며 관악합주곡으로 연주한다.
오늘은 현악 선율을 새로 구성하고 추가하여 관현합주로 연주한다.
○ 집박/이영
○ 피리/양명석·황규상·이건회·김성진·고우석·홍현우·윤형욱·김철·김성준·이종무·민지홍
○ 대금/이상원·채조병·노붕래·김상준·최성호·문응관·김영헌·김기엽·박장원·김휘곤·이승엽·이결·이종범, 소금/이오훈
○ 해금/김주남·윤문숙·류은정·전은혜·고수영·사현욱·김용선·한갑수·성연영(객원)·최태영(객원)
○ 가야금/채성희·장경원·조유회·이종길·이유나·김윤희·고연정·정지영
○ 거문고/김치자·김미숙·채은선·윤성혜·이방실·고보석·박지현
○ 편종/김형섭, 편경/조인환, 아쟁/김창곤·김인애, 장구/박거현, 좌고/홍석복
○ 창사/이정규·문현·김병오·홍창남·이준아·조일하·이선경(객원)·정혜인(객원)·박소현(객원)·김윤지(객원)·이아름(객원)·김도연(객원)
○ 현악 선율 구성/현악 파트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