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2015 토요명품공연: 종합 마형[04.11.]의 첫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여민락은 본래 세종대왕이 창제했다고 알려진 용비어천가 한문가사를 노랫말로 하는 음악이었다. 여민락은 조선후기를 거치면서 네 가지 악곡으로 분화되어 전승되었다. (여민락)만, 본령, 해령은 관악합주로 연주되는 궁중음악이며, 관현합주 여민락은 민간의 풍류음악으로 전승된 음악이다. (여민락)만, 본령, 해령이 임금의 행차에 사용된 음악이었던 만큼 느리고 중후한 선율을 갖는 데 비해, 관현합주 여민락은 민간의 풍류음악으로 전승된 음악인만큼 느리고 유장하면서도 우아한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 집박/조인환
○ 피리/황규상·이건회·김성준·이종무·민지홍·김인기, 대금/이상원·노붕래·김영헌·김기엽·김휘곤
○ 해금/황애자·류은정·전은혜·고수영·사현욱
○ 거문고/홍선숙·김치자·김미숙·채은선·고보석, 가야금/채성희·장경원·이유나·이명하·김형섭
○ 아쟁/김인애, 소금/김백만(준단원), 장구/안성일, 좌고/조성욱(준단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