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2014 토요명품공연: 해설 A형[02.08.] - 03. 가야금병창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조회 219 0 0

[아니리] 강남두견은 조중지망제라 백조들을 점고를 허는디 미국 들어갔던 분홍제비 중원나갔던 명맥이 만리조선 나갔던 흥보제비 나오 [중중모리] 흥보제비가 들어온다 박흥보 제비가 들어온다 부러진 다리가 봉퉁아지가 져서 전동거리고 들어와 예 제비장수 호령을 허되 너는 왜 다리가 봉통아지가 졌노 홍보제비 여짜오되 소조가 아뢰리다 소조가 아뢰리다 만리조선을 나가 태였다가 소조 운수 불길하여 뚝 떨어져 대반에 다리가 작칵 부러져 거의 죽게 되였더니 어진 흥보씨를 만나 죽을 목숨이 살았으니 어찌허며는 은혜를 갚소리까 제발 덕분에 통촉하오 [아니리] 그러기에 너의 부모가 내 장령을 어기더니 그런 변을 당하였구나 너는 명춘에 나갈 적에는 내가 출행날을 받아줄 것이니 그날 나가거라 삼동을 지나고 춘삼월이 방장커날 하루는 흥보 제비 보은표 박씨 입에 물고 만리조선을 나오는디 꼭 이렇게 둘러보며 나오것다 [잦은모리] 흑운박차고 백운무릅쓰고 거중으 둥둥 높이 떠어 두루 사면을 살펴보니 서촉지촉이요 동해창망 허다 축융봉을 올라가니 주작이 넘놀고 상익토 하익토 오작교 바라보니 오초동남에 가는 배는 북얼 두리둥둥 둥둥둥둥둥 어기야 어기야 저어가니 원포귀범이 이 아니냐 백고백로 짝을 지어 청파상에 왕래허니 석양촌이 거의노라 회한봉을 넘어 황능묘 들어가 이십오현 탄야월 반죽가지 쉬여 앉어 두견성 화답허고 황학루를 올라가니 황확일거불부만 백운천 재공유유라 금능을 지내여 주사촌 들어가 공수창가 도리개라 낙매화를 툭 차 우연에 펄렁 떨어지고 이수를 지내여 종남산을 넘어 계명산 올라가니 장자방 간 곳없고 남병산 올라가니 칠성당이 빈터요 연제지간을 얼른 지내 장성을 지내여 갈석산을 넘어 인경을 들어가 황극전에 올라 앉어 만호장 구경허고 경향문 내달아 창달문 지내여 동간을 들어가니 산미륵이 백의로다 요동 칠백리 강동을 지내어 압록강을 건너 의주를 다달아 영고탑 통군전 올라앉어 앞남산 밖 남산 석빅강 용천강 좌우령을 넘어들어 부산파무 할마고개 강동 다리를 시각이 건너 평양은 연광정 부벽루를 구경허고 대동강 장림을 지내어 송도를 들어가 만월대 관덕정 박연폭포를 구경허고 임진강을 시각이 건너 삼각산에 올라앉어 지세를 살펴보니 체령산 내골맥이 중령으로 흘리져 금화금성이 분명허고 춘당영천 회돌아 도봉망월대 솟아있고 삼각산이 생겼구나 문물이 빈빈허고 풍속이 흐희하야 만만세지 금탱이라 경상도는 함양이요 전라도는 운봉인데 운봉함양 두얼품에 흥보가 사는지라 저 제비 거동 보소 박씨를 입에다 가로 물고 남대문 밖 썩 내달아 칠패팔패 배다리 지내 애고개를 얼른 넘어 동작강 월강 숭방을 지내여 남태령을 넘어 두 쭉지 옆에 찌고 수루루루루루루 퍼어얼~펄 [중중모리] 홍보 문전을 당도 홍보 집을 당도 당산당하 비거비래 편편이 노난 거동은 무엇을 같다고 이르랴 반갑다 내 제비 북해흑룡이 여의주 물고 채운간에 가 넘논 듯 단산봉황이 죽실을 물고 오동속으로 넘논 듯 유곡청앵이 난초를 물고 송백상의 넘노난 듯 집으로 펄펄 날아들어 들보 우에 올라 앉어 제비 말로 운다 제비 말로 우난디 물었던 박씨를 옆에 놓고 제비가 운다 지지지지 주지주지 거지연지 우지배오 낙지각지 절지연지 은지덕지 함지표지 내지배오 빼그르르르르 흥보가 보고 고이 여겨 흥보가 보고 고이여겨 찬찬히 살펴보니 절곡양각이 완연 오색당사로 감은 흔적 아리롱 아리롱허니 어찌 아니가 내 제비 저 제비 거동 보소 보은표 박씨를 흥보 양주 앉은 앞에 뚝 때그르르 떼뜨리고 거중에 둥실 솟아 백운간으로 날아간다

  • 등록번호 V012208
  • 기록 분류민속악>성악>병창>가야금병창>판소리 
  • 기록 일시2014.02.08 - 2014.02.08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동영상
  • 저장매체동영상DVD-R

내용

○ 2014 토요명품공연: 해설 A형[02.08.]의 세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병창(竝唱)은 악기를 연주하면서 노래하는 방식을 말한다. 연주자가 직접 노래를 부르면서 악기를 연주할 수 없는 관악기를 제외하고 가야금, 거문고, 해금 등의 악기를 연주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서도 가장 널리 연행되는 것이 가야금병창이다. 보통 병창은 단가나 민요, 판소리 중의 한 대목을 부르는데, 악기연주와 노래의 조화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제 맛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가야금병창의 경우 가야금은 가야금대로, 노래는 노래대로 잘해야 되는 매우 어렵고 예술성이 뛰어난 음악이라 할 수 있다.
○ 병창/강길려·박현숙 ○ 고수/정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