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2017 토요명품공연: 애호가를 위한 가무악 3[02.11.] - 07. 서도민요 ’신년맞이·기원굿’

조회 190 0 0 다운로드 신청

○ 신년맞이 기원굿 아따 여봐라 말들어라 술이나 한잔 빚어보자 때는 마참 어느 때뇨 구정명절은 다 지나가고 정월대보름 맞이하야 앞집 뒷집에 연날리고 때가 좋으니 술 빚어라 오곡백과로 누룩을 잡어 감초초약으로 덧칠을 하구 한달을 빚었다 일삭주요 두달을 빚었다 이삭주라 석달을 빚었다 삼색주 석달 열흘에 백일주요 이 아니두나 좋을소냐 마고선녀에 천일주요 늙지나 마자구 불로주요 죽지나 마자구 불사주 달이나 밝다구 월광주요 낮이나 맑다구 일광주 이백에 기경 포도주요 뚝 떨어졌다고 낙화주 삼월 하루 두견주요 이 아니두나 좋을소냐 이 술한잔을 잡수시면 없는 자손은 생겨를 주고 있는 자손은 수명장수 재수나 소망도 생겨를 주마 얼마나 좋은지 모르갔네 넘어오네 넘어오네 정유년 새해가 넘어오네 나에 에 정유년 새해가 넘어오네 정유년 새해가 넘어올적에 각 가정마다 복도주고 나에 에 각 가정마다 복도주고 우환질병 삼재팔난 걱정근심도 몰아가자 나에 에 팔미도 앞바다 소멸하고 일일만사가 소원대로 만사형통이 하옵소서 나에 에 만사형통을 하옵소서 정월대보름 맞이하야 에 허리 영부정 재수나 소망을 빌어드릴세라 에 허리 영부정 오늘날에는 하강을 할까 에 허리 영부정 초감흥이 또들어 온다 에 허리 영부정 영부정 신령님 놀러오는데요 에 허리 영부정 우리나라는 이씨에 영부정 에 허리 영부정 저 나라는 천자에 영부정 에 허리 영부정 우주나 월강에 왕래나 영부정 에 허리 영부정 하늘땅에는 설법 영부정 에 허리 영부정 인간에도 영부정 봉립에도 영부정 에 허리 영부정 사산에도 영부정 봉립에도 영부정 에 허리 영부정 사산에도 영부정 영산에도 영부정 에 허리 영부정 안산으로 봉립에도 영부정 에 허리 영부정 에 허리 쑹거야 에 허리 쑹거야 일년이면 열두달 삼백이면 예순날 에 허리 쑹거야 정월달에 드는액은 액맥이 연으로 막아내고 에 허리 쑹거야 이월달에 드는액은 한식차례로 막아내고 에 허리 쑹거야 삼월달에 드는액은 에 허리 쑹거야 연자초리로 막아내고 에 허리 쑹거야 사월달에 드는액은 관등놀이로 막아내고 에 허리 쑹거야 오월달에 드는액은 단오그네로 막아내고 에 허리 쑹거야 유월달에 드는액은 에 허리 쑹거야 유월유두로 막아내고 에 허리 쑹거야 칠월달에 드는액은 견우직녀로 막아내고 에 허리 쑹거야 팔월달에 드는액은 한가위로 막아내고 에 허리 쑹거야 구월달에 드는액은 에 허리 쑹거야 구월구일로 막아내고 에 허리 쑹거야 시월달에 시월달에 드는액은 드는액은 시월고사 시월고사 막아내고 막아내고 동짓달에 동짓달에 드는액은 드는액은 동지팥죽 동지팥죽 막아내고 막아내고 섣달에 섣달에 드는액은 드는액은 흰떡메루다 흰떡메루다 막아내고 막아내고 이만하면 넉넉하게 빌어드렸으니 오늘오신 여러분들 재수소망 열어주고 명도주고 복도주고 일년신수는 대길하리오라 에 허리 쑹거야

  • 등록번호 A025997
  • 기록 분류민속악>성악>민요>통속민요>서도 
  • 기록 일시2017.02.11 - 2017.02.11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음향
  • 저장매체음향DVD-R
  • 열람 조건온라인 열람, 다운로드 신청
  • 공공누리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내용

○ 2017 토요명품공연: 애호가를 위한 악가무[02.11.]의 여섯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내용 민요는 사람들 사이에서 저절로 생겨나서 오랜 세월동안 입에서 입으로 자연스럽게 전해온 노래이다. 크게 향토민요와 통속민요로 구분하는데, 향토민요는 일정한 지역 안에서 노동이나 놀이, 신에게 기원을 하는 의식의 현장에서 부르던 노래이고, 통속민요는 전문적으로 훈련된 소리꾼이 불러 세련되게 다듬어 지고, 지역적인 경계를 넘어 널리 불려지던 노래이다. 지역마다 독특한 사투리가 있는 것처럼 민요에도 서로 다른 음악적인 특징이 있는데, 서도민요는 우리나라 서북지방인 황해도, 평안도 지역에서 불렸던 민요를 가리킨다. 눌러 떨어주는 소리가 특징으로 '수심가'가 대표적인 노래여서 이 지역의 음악적인 특징을 '수심가토리'라고도 한다. 산염불, 자진염불, 느리게타령, 금다래타령, 배치기, 술비타령 자진술비타령 같은 노래들이 있다.
○ 소리/유지숙·김민경·장효선, 무징/유미리, 꽹과리/강병혁, 장구/유지형, 북/임용남, 징/박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