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자료상세

2014 토요명품공연: 해설 B형[01.18.] - 03. 시조(중허리시조, 남창지름시조)

조회 152 0 0 다운로드 신청

○ 중허리시조 '임그린' 임그린 상상몽이 실솔의 넋이되어 추야장 깊은밤에 임의방에 들었다가 날잊고 깊이든 잠을 깨워볼까 ○ 남창 지름시조 '정월이' 정월이 돌아오면 사람마다 새해라네 년년세세 새해라네 세세년년 옛해로다 우리도 저 해와 같이 만고불변 (하리라)

  • 등록번호 A021269
  • 기록 분류정악>성악>시조 
  • 기록 일시2014.01.18 - 2014.01.18
  • 기록 장소국립국악원 우면당
  • 소장처국악아카이브실
  • 기록유형음향
  • 저장매체스토리지
  • 열람 조건온라인 열람, 다운로드 신청
  • 공공누리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공공누리 제 2유형: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내용

○ 2014 토요명품공연: 해설 B형[01.18.]의 세 번째 프로그램 ○ 팸플릿 수록 내용 시조(時調)는 시조시를 장구 또는 대금, 피리, 해금, 장구반주로 노래하는 성악곡이다. 초장, 중장, 종장의 간결한 형식에 삶의 희로애락을 담아낸시조시는 가곡으로 노래하거나, 보다 단순한 시조창으로 불렀다. 특히 소탈한 멋을 즐겼던 서민들이 선비들의 노래인 정가를 보다 쉽게 부를 수 있도록 창안된 '쉽고 간단한 정가 스타일의 생활 노래'가 곧 시조라고 할 수 있다. 하루하루 겪는 일상사와 계절마다 변화하는 아름다운 경치를 시조 3장에 담아 무릎장단에 맞춰 부르기도 했다. 시조의 음악 형식은 몇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표준이 되는 것은 평시조(平時調)이다. 이 밖에 노래의 특정부분을 높이 질러내며 부르는 지름시조나 엇시조, 사설시조 등이 있다. 기본 형식은 아주 간단하여 각 스타일의 시조를 한 곡만 익히면 사설을 다양하게 바꿔 부를 수 있다.
○ 노래/이준아·홍창남 ○ 피리/김성진, 대금/김상준 ○ 해금/윤문숙 ○ 장구/안성일